브이티 회사일반
브이티는 원래 라미네이팅 인쇄기계 및 필름 제작회사인 GMP와 화장품 회사 VT코스메틱이 2019년 합병하여 탄생했습니다. 이 회사는 현재 화장품 및 엔터테인먼트 사업에 집중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바이오, 2차배터리, 수소에너지 분야에도 활발하게 진출하고 있습니다. 주요 자회사로는 큐브엔터테인먼트가 있습니다.

주요사업(공시정보 기준)
[라미네이팅 사업]
라미네이팅이란 인쇄물의 표지, 문서, 사진, 신분증 등 각종 출력물의 표면을 비닐 소재로 코팅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그 외에도 인테리어 소재를 비롯 렌즈 표면의 반사방지 코팅, 특수 유리 제작 등 다방면에 라미네이팅 기술이 쓰입니다. 라미네이팅 기술이 21세기 들어 다시 각광받는 이유는 인쇄전자, 태양전지 제작, 대면적 그래핀 제작, 홀로그램 제작 등 첨단기술에 필요한 핵심 공정이기 때문입니다.
당사 라미네이팅 사업부는 코로나19 와 영업 관련하여 국내, 해외 고객사와의 관계개선을 Untact Conference(비 접촉 화상회의)를 이용하여 GMP Brand Laminating 국제세미나를 On-Line으로 대체 진행하여 신제품 등을 소개하는 전략을 구사 하였으며 전년 대비 매출액 약 1% 성장 및 영업이익은 534백만원으로 흑자전환 하였습니다. 최근 들어 중국, 동유럽 등에서 생산되는 저가형 기계 및 필름 공급이 증가하고있으나 당사는 대형기계위주의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시장 경쟁자들과 차별화된 신제품 LAMIMASTER IDH-54 PAIR DUPLEX HS 150을 미국, 유럽 디지털 사진 시장에 공급하며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인덕션 히팅 롤러의 국내 유일 설계ㆍ제조사로 특허권 확보하고 있으며해당 롤러 기술은 2차 전지 제조설비, FCCL(Flexible Cupper Clad Laminate)필름 제조설비, 멤브레인 표면 재질 설비 필름 압축 설비 등 이것을 활용하는 다수 기업의 최첨단 부품제조설비에 활용 되고있습니다.
라이네이팅 사업부문의 2023년 당반기 매출액은 15,034백만원이며 매출비율은
12.27% 입니다.
[화장품 사업]
화장품은 다른 소비재와 다르게 인간의 미와 신체에 관련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특징이 있어 생산, 유통, 판매, 광고 및 소비에 이르기까지 여러 법적 제약이 있으며 화장품 사업은 크로스오버(타산업과의 콜라보레이션)가 활발한 사업이며 글로벌한 사업과 경쟁적 사업입니다.
당사 화장품 사업부는 전년 대비 매출액 약 14% 성장하였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글로벌 화장품 시장 트렌드가 홈 케어 및 셀프케어의 인기, 온라인 유통 확대, 친환경트렌드의 확산으로 전환되고 있는 가운데 자사의 스킨케어 라인은 해외시장에서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중국과 함께 세계 3대 뷰티 강국으로 불리는 일본 뷰티 시장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일본 온라인 시장에서 높은 판매 실적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일본 전역에 오프라인 시장을 지속확대하고 있습니다. 화장품 사업부문의 2023년 당반기 매출액은 58,986백만원이며 매출비율은 48.12% 입니다.
[바이오 사업]
생명공학산업 즉 바이오산업은 생명공학기술(Biotechnology)을 기반으로 생물체의 기능과 정보를 활용하여 제품 및 서비스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를 생산하는 산업을 의미합니다. 의약, 환경, 식품, 에너지, 농업, 해양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성장을 주도함과 동시에 건강, 식량, 환경 문제 등 인류 난제를 해결함으로서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유망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경희대학교 배현수 교수팀으로부터 조절T 세포를 이용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및 알츠하이머병 치료용 백신 조성물 기술이전(L/I)하였으며, 동 기술기반으로 더욱 더 진보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특허 2개와 PCT를 진행하였고, 그중 1건은 일본에서 특허 등록이 완료 되었습니다. 또한 기술의 실현성을 확인하기 위해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임상 1상을 수행 완료 하였고, 미국 FDA에서 1/2a 임상시험 IND를 통과하였습니다. 아울러 보건산업진흥원 국책과제 2개를 모두 성공리에 마무리하였습니다. 현재는 일본에서 재생의료 서비스를 진행하기 위해 도쿄 소재 세포치료제 전문병원과 업무협약을 완료하여 일본내 재생의료 승인 작업을 진행중에 있어 동년 상반기나 내년초에 일본에서의 서비스를 진행하여 수익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브이티바이오의 최종 목표는 외국계 거대 제약사에 기술이전(L/O)이며, 이를 위해 기술이전 전문가를 섭외하여 현재 활발히 업무진행중에 있어 좋은 결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제품 판매는 기존에 판매중인 간기능 개선 건강기능식품인 ‘피니톨포리버’를 여러 온라인 마켓에서 판매중이며, 알츠하이머병 천연물 치료제(VT012)의 조성을 이용해 ‘리브레인’이라는 상품명으로 건강기능식품으로 판매중에 있습니다.
[광고 대행업 및 해외 유통사업]
광고사업은 광고주의 Needs에 따라 광고 및 홍보 전략 수립, 광고물의 제작, 광고물의 매체집행, 각종 행사 및 이벤트 대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이동통신기술의 발달과 디지털기기 사용이 생활화되어 PC, 모바일 기반 유튜브, SNS 등의 뉴미디어 광고시장은 사용자가 확대되고 있고 광고주의 높은 관심으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화장품 유통업의 경우 2018년 기준 한국의 총 수출액 6천억 달러 중 10%인 60억달러 이상을 차지하며 이는 10년사이 15배 이상 성장한 규모 입니다. 최근 몇년간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기업의 해외 유통 및 서비스 진출 등의 연계 수요가 증가하여 나타난 성과로 향후 5년 동안 꾸준한 성장세가 예상되는 사업 부분입니다.
현재 케이블리는 화장품 해외 유통망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광고업과 연관하여 현지 최대 엔터테인먼트사인 GMM과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동남아시아 제품 유통 계획 및 미디어 컨텐츠 유통 등을 논의 중입니다. 향후 국내 고객사들의 광고, 온/오프라인 마케팅 대행 및 공연기획, 엔터테인먼트와 스타 마케팅, 굿즈 등의 상품제작, 그리고 동남아 현지 네트워크의 협력을 통한 K-beauty 유통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며 동 계열사들인 VT의 제품들과 큐브엔터의 셀럽 마케팅 및 내부 자원 활용에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것이라 기대합니다.
[국/내외 음반 기획, 생산, 홍보, 공연, 매니지먼트 등의 사업]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엔터테인먼트와 관련된 제품 및 서비스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는 산업으로 엔터테인먼트의 창조, 생산, 유통, 소비 등 모든 과정을 포함합니다. 우리나라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문화산업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고 있으며 2001년부터는 문화와 콘텐츠를 결합한 문화콘텐츠 산업이란 용어를 통해 문화산업의 범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엔터테인먼트 사업부문의 2023년 당반기 매출액은 48,098백만원이며 매출비율은 39.24% 입니다.
[전기차/2차전지 사업]
정부정책으로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 및 자동차 부품산업 활력 제고 방안의 일환으로 친환경차 관련 투자 확대 및 보급목표 상향 설정을 하였습니다. 친환경차 전용 핵심부품 시장도 또한 성장 중입니다. 전기차 가격의 40%를 차지하는 2차전지 시장도 전기차 성장세에 힘입어 가파른 성장이 예상됩니다.
[수소에너지 사업]
정부의 주요 에너지정책(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제5차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 재생에너지 3020, 수소경제활성화 로드맵 등)에 따른 신재생에너지의 확대를 통해, 2040년 발전용 연료전지에 대해 15GW 수준으로의 용량 증가가 예상됩니다. 본 수소에너지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으로 발생하는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고효율·친환경 발전시스템입니다.
재무
| 주요재무정보 | 매출액(억원) | 순이익(억원) | ROE(%) | 부채비율(%) |
|---|---|---|---|---|
| 2020 | 1,074 | -13 | 1.69 | 125.65 |
| 2021 | 2,268 | 175 | 20.09 | 88.61 |
| 2022 | 2,402 | 132 | 14.34 | 114.79 |
| 2023 | 3,023 | 312 |
TradingClueTM
22,500~
7차 매수 목표 가격
2024년 11월 16일 : 12월 말 이내
18,500~
8차 매수 목표 가격
2024년 11월 16일 : 25.03월 말 이내
35,000
4차 목표 매도가격
Trading History
- 2024년 1월 17일 : 1차 매수 가격 근접 14900원
- 2024년 2월 14일 : 1,2차 매수가격 기간 조정
- 2024년 4월 2일 : 1차 목표 매도 가격 근접 20,000원
- 2024년 4월 3일 : 1차 목표 매도 가격 도달 장중 21,500원 매도
- 2024년 4월 3일 : 향후 5월에 다시 분석 예정
- 2024년 4월 16일 : 3차 4차 매수 목표 가격, 2차 매도 목표 가격 설정
- 화장품 사업으로 각광받는 중
- 2024년 7월 5일 : 5차, 6차 매수 및 매도 목표 가격 수정
- 2024년 8월 5일 : 5차 매수 가격 근접, 과대하락, 28,900원 일부 매수
- 2024년 11월 6일 : 11월 6일 33,300원 전량 매도(15프로 수익)
28,500~
5차 매수 목표 가격
2024년 4월 16일 : 5월 말 이내
24,500~
6차 매수 목표 가격
2024년 4월 16일 : 6월 말 이내
39,000
3차 목표 매도가격
20,500~
3차 매수 목표 가격
2024년 4월 16일 : 5월 말 이내
18,500~
4차 매수 목표 가격
2024년 4월 16일 : 6월 말 이내
28,000
2차 목표 매도가격
14,000~
1차 매수 목표 가격
2024년 1월 12일 : 2월 말 이내
12,000~
2차 매수 목표 가격
2024년 1월 12일 : 3월 말 이내
21,000
1차 목표 매도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