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주가 폭락
최근 테슬라 주가가 급격히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것의 원인은 여러가지 있겠지만 먼저 어제 발표한 지난 분기 실적 발표에 큰 영향이 있습니다. 우선 매출은 3프로가 증가했지만, 순이익이 40프로나 급감 한 것으로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습니다. 다른 하나의 원인은 중국 전기차 업체와의 경쟁 심화입니다. 최근 분기의 최대 전기차 판매 업체는 기존 테슬라에서 중국의 BYD로 넘어갔습니다. 특히 중국 전기차 업체이 가격 경쟁력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이며, 전세계 모든 자동체 제조사들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MDD란?
MDD : Maximum Draw Down 란 투자 중 고점에서 저점까지 떨어진 비율을 의미합니다. 공식으로 표현하면
MDD = (최저점주가/전고점주가) -1
입니다. 이것은 자산투자자(주식 혹은 부동산 등)가 겪을 수 있는 최대 손실을 나타내는 지표로, 투자의 위험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곤 합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2020년 부터 2024년까지의 최고점은 2021년 1월에 96,800원이며, 최저점은 2022년 9월에 51,800원 입니다. 즉 MDD는 -0.4 즉 40프로 이상이며, 국내 최고 기업인 삼성전자의 주식 매매시에도 최고값대비 -40프로까지 떨어질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만약 주식 투자자라면 초우량 기업도 매수가 대비 최대 -50프로까지는 고려해야 하고, 일반 주식의 경우는 -80프로도 종종 발생합니다.
만약 투자한 기업이 우량기업이고 향후 지속적인 성장기업이라면 다행이지만 우량기업이 아닌 테마종목에 투자 한 경우라면, 반드시 손절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즉 내가 투자하는 자산에 대해서 (장기적인 투자자의 경우) 심리적 가격 충격을 얼마나 감당할수 있는지도 투자의 중요한 요건이 된다.
테슬라 주가의 MDD
테스라 주가의 MDD를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 2020년 2월 부터 3월 까지 MDD 는 -0.52 (약 52 프로 하락)
- 2021년 1월 부터 5월 까지 MDD 는 -0.34
- 2022년 9월 부터 2023년 1월까지 MDD 는 -0.63 (약 63 프로 이상 하락)
- 최근 한달동안 MDD 는 -0.27 (약 30프로 가까이 하락)
최고 상승 기간인 2021년 5월 부터 11월까지는 100프로 이상 상승할 정도로 테슬라의 변동성은 기타 다른 주식에 비해 큰 편입니다.
고려사항
자산 투자시 MDD는 나의 투자 성향 및 심리적 충격을 감당하는 정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어떠한 자산이든지 FOMO(Fear of Missing Out : 다른사람들만 이익을 얻고, 나만 소외되는 두려움)를 극복하고 최대한 경쟁력 있는 가격에 매수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내가 자산투자시 어느정도의 가격하락까지 감당할 수 있는지, 이 가격보다 떨어지면 손절할 수 있다는 전략은 반드시 세우고 투자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