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연구: 사회적 그룹이 기억과 정치적 극단화에 미치는 영향
우리는 매일 수많은 정보를 접하고 기억합니다. 하지만 모든 정보를 똑같이 기억하지는 않습니다. 최근 발표된 흥미로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가 ‘같은 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로부터 얻은 정보를 더 잘 기억하고 활용한다고 합니다. 이는 단순한 기억력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뇌의 작동 방식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현대 사회에서 점점 심화되고 있는 정치적, 사회적 양극화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글에서는 이 연구의 의미와 그것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Ingroup sources enhance associative inference
https://www.nature.com/articles/s44271-023-00043-8
기억의 유연성과 사회적 그룹
우리의 기억은 단순히 정보를 저장하고 불러오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우리의 뇌는 끊임없이 정보를 재구성하고 연결하며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냅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가 속한 사회적 그룹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2020년 미국 대선 당시 트럼프 지지자들과 바이든 지지자들은 같은 뉴스를 보고도 전혀 다른 기억을 형성했습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신의 정치적 성향과 일치하는 정보를 더 잘 기억하고, 그렇지 않은 정보는 무시하거나 왜곡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이는 우리의 기억이 객관적 사실보다는 우리가 속한 그룹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룹 내 정보와 추론적 기억
연구 결과, 같은 그룹에서 얻은 정보는 더 잘 기억될 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결론을 도출하는 능력도 향상됩니다. 이는 우리 뇌가 ‘신뢰할 수 있는’ 정보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소셜 미디어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최근 MIT 기술 리뷰의 보고에 따르면, 페이스북 사용자들은 자신의 정치적 견해와 일치하는 뉴스를 더 자주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 강력한 주장을 펼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정치적 성향에 관련된 Youtube 관련 영상에 대한 반응도 이것의 한 예가 될 수 있습니다. 즉 내가 속한다고 생각하는 그룹 내 정보가 더 잘 기억되고 활용된다는 연구 결과와 일맥상통합니다.
뇌의 정보 처리 메커니즘
논문에서 중요한 단어가 “출처 모니터링”이라는 용어입니다. 이 용어 대신, 우리 뇌의 ‘신뢰도 평가 시스템’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우리 뇌는 정보를 받아들일 때, 그 정보의 출처가 얼마나 믿을만한지를 자동으로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정보를 접할 때, 우리 뇌는 그 정보가 WHO에서 나온 것인지, 아니면 검증되지 않은 SNS 게시물인지를 빠르게 판단합니다. WHO의 정보는 ‘믿을만한 출처’로 인식되어 더 쉽게 기억되고 활용되는 반면, 검증되지 않은 정보는 더 많은 mental energy 즉, 뇌의 에너지를 소모하면서 처리됩니다.
정치적 극단화와 기억
최근의 정치적 극단화와 사회적 갈등의 증가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더욱 중요하게 만듭니다. 정치적 극단화는 사람들이 자신의 그룹과 일치하는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기억하고, 그렇지 않은 정보는 무시하거나 왜곡하게 만듭니다. 이는 그룹 내 정보가 더욱 신뢰받고 쉽게 기억되는 현상과 맞물려, 사회적 갈등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는 이러한 극단화된 사회에서 정보의 출처와 신뢰도가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그룹 내 정보는 더 잘 기억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추론을 도출하는 능력이 향상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기존의 신념을 더욱 강화하고 상대방에 대한 불신을 증가시키는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실험의 결과와 사회적 함의
위 논문에서 세 가지 실험 결과는 모두 그룹 내 정보가 더 잘 기억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추론을 도출하는 능력이 향상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특히, 논문에서 이야기한 세 번째 실험에서는 참가자들이 그룹 내 및 그룹 외 인물들에 대해 얼마나 호감을 느끼는지 평가한 결과, 그룹 내 인물에 대한 호감이 높을수록 추론적 기억 성과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사회적 그룹이 기억 과정에 미치는 영향이 단순히 인물의 호감도와도 관련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결론
이 연구는 사회적 그룹이 기억과 추론적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그룹 내 정보가 더 잘 기억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추론을 도출하는 능력이 향상된다는 결과는, 사회적 그룹이 우리의 지식 형성과 업데이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특히, 정치적 극단화와 사회적 갈등이 심화되는 현 상황에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정보의 출처와 신뢰도가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갈등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