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건설기계 회사개요
HD현대건설기계는 다양한 건설장비와 산업차량을 생산하는 종합건설기계 전문 기업입니다. 이 회사는 1985년에 중기계 사업부로 사업을 시작하여 현재 연간 약 5만여 대의 건설장비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7만 5천여 평 규모의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 140개국에 걸쳐 500개의 딜러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 유럽, 중국, 인도,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 여러 국가에 현지법인을 두고 활발한 영업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산업전망 및 기술동향
HD현대건설기계는 세계 최고의 건설장비 개발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굴착기, 휠로더 등의 기종에 새로운 스타일링의 디자인, 자동제어 시스템, 운전자 중심의 편의성 향상 등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특히, 프로세스 사이클 타임을 단축하고 데이터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PDM(Product Data Management) 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 중입니다. 또한, 인체공학적 설계와 첨단 기술을 적용한 제품들을 선보이며, ICT 기술을 기반으로 한 장비 운영의 토탈 솔루션 ‘현대커넥트’를 활용해 스마트 컨스트럭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자율주행 무인 지게차, 전기 굴착기, 수소연료 지게차 등 미래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업계동향
HD현대건설기계는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의 인프라 투자 증가로 인한 판매량 및 수익성 개선을 경험했습니다. 올해 매출 목표는 4조 120억 원으로 설정, 북미 시장이 글로벌 매출의 25% 이상을 차지하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중남미 및 신흥시장에서도 선전하여 올해도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입니다.
HD현대건설기계의 주요 경쟁사 중 하나는 두산인프라코어입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건설장비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투자하고 있으며, Concept-X 제어 솔루션과 같은 첨단 기술을 개발하여 모든 위험한 건설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2019년 매출이 세계 매출의 3.3%를 차지할 정도로 큰 규모를 자랑합니다.
주요제품
- 굴착기(Excavators): HD현대건설기계의 굴착기는 새로운 디자인, 자동제어 시스템, 운전자 중심의 편의성 향상 등의 기능이 특징입니다. 또한, 프로세스 사이클 타임을 단축하고 데이터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PDM(Product Data Management) 시스템을 통해 기술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 로더(Loaders): 로더는 건설 현장에서 다목적으로 사용되는 중장비로, HD현대건설기계는 이 분야에서도 품질과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로더는 물건을 적재하거나 이동하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 기타 & 특수장비(Other Products & Special Equipment): 이 부문에는 다양한 건설 현장에서 필요한 특수 장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 장비는 특정 작업에 최적화되어 설계되었으며,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HD현대건설기계는 신기술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동 굴착제어시스템, 인체공학 기술, 특수 사양 등을 개발하기 위해 산학협동, 사내 연구소, 해외 전문 업체 간 기술정보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HD현대건설기계는 안전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머신 컨트롤 시스템(MC), Hi Detect (주변 환경 감지 및 위험요소 경고 기술), RDS (Rear Detection System, 후방 장애물 감지 시스템), SGS (Smart Guard System, 스마트 감지 및 경고 시스템), E-Bounds (전자/가상 경계 설정 기능) 등의 기술을 통해 작업 현장의 안전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재무
| 주요재무정보 | 매출액(억원) | 순이익(억원) | ROE | 부채비율(%) |
|---|---|---|---|---|
| 2020 | 23,905 | 85 | -0.8 | 111.39 |
| 2021 | 32,843 | 1,264 | 8.91 | 129.97 |
| 2022 | 35,156 | 994 | 7.99 | 106.84 |
| 2023(E) | 38,384 | 1,869 | 12.56 |
TradingClueTM
52,000 ~
2024년 1월 24일 : 3월 말 이내
1차 매수 목표 가격
46,000~
2024년 1월 24일 : 7월말 이내
2차 매수 목표 가격
70,000
1차 매도 목표가격
Trading History
- 향후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수혜주
- 2024년 3월 11일 : 51,100원 1차 매수 가격 도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