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일반
회사 비전과 사명:
주요 사업 영역:
- 항공우주: 가스터빈 엔진 및 부품, 항공기 부품, 우주발사체 엔진을 제공합니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2)의 총 6기 액체로켓 엔진과 공급계 밸브, 자세제어시스템, 추진기관 시험설비 등 핵심 부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2023년부터 2027년까지 누리호 3기를 추가적으로 제작 및 발사할 계획입니다.
- 방산: 화력체계, 기동체계, 대공체계, 유무인복합체계, 유도무기체계, 탄약체계, 항법장치, 레이저 등을 포함하는 방산 분야에서 활발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생산/납품 장비로는 K9자주포, K10탄약운반장갑차, K77사격지휘장갑차, K55A1자주포, K56탄약운반장갑차, K105A1자주포, K21보병전투장갑차, K200A1, 120밀리자주박격포 등이 있습니다.
- 전기추진체계: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분야에서 친환경 파워트레인의 핵심 구성품인 배터리팩(Energy Storage System)과 모터(Electric Engine)를 개발하고 있으며, 미국 오버에어사에 공급할 예정입니다. 또한, 영국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와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용 전기식작동기(EMA) 개발 및 공급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역사와 발전:
- 1979년에 가스터빈 엔진창정비 사업을 시작으로, F-15K, T-50 고등훈련기 등 각종 전투기 엔진과 한국형 헬기 ‘수리온’의 국산화 엔진, 해군 주력 함정용 엔진 등 9,000대 이상의 엔진을 누적 생산해왔습니다. 이와 함께 민간 항공기의 엔진 부품을 글로벌 항공기 엔진 제조사에 공급하고 있으며, 2019년에는 미국의 항공기 엔진 부품사인 이닥(EDAC)을 인수하여 한화에어로스페이스 USA를 출범시켰습니다.
업계동향
- 항공우주 산업 동향:
- 성장 전망: 항공우주산업은 위험 부담이 큰 모험 산업이지만, 미래에 대한 기대가 큽니다. 2040년까지 항공산업은 현재 대비 약 1.6배, 우주산업은 약 3배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팬데믹의 영향: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항공산업은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여러 항공사가 파산하거나 매각되었으며, 중공업 및 부품 가공회사들도 설비투자 수요에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 장기 수요: 2040년까지 항공기 수요는 2019년 대비 1.6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중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가장 큰 수요를 차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 우주산업의 성장: 세계 우주산업 규모는 약 3,710억 달러로, 이 중 위성 및 관련 산업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2040년까지 우주산업 시장규모는 약 1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 방산 산업 동향:
- 유럽 시장의 변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의 방산강국들이 동유럽 방산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에게 위기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국내 방위산업의 상황: 한국의 방위산업은 잠재력을 온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제조업 대비 낮은 이익률과 매출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방위산업의 발전은 국가 안보 강화와 연결되므로 정책적 촉진이 필요합니다.
- 위기 요인과 대응: 방위산업의 주요 위기 요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및 규제, 방위산업 비리 프레임, 적극적 행정을 가로막는 제도 등이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제도적 개선과 정부 및 국방과학연구소의 조직 재구성 등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 방위산업의 미래: 국방예산 및 방위력개선비의 증가는 방위산업의 발전적 미래를 담보하고 있으며, 여러 제도적 개선을 통해 방위산업 생태계 강화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항공우주 및 방산 산업은 지속적인 성장과 변화가 예상되며, 특히 우주산업의 빠른 성장과 함께 국가 안보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방산 산업의 발전이 중요합니다. 또한,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과 내부적인 산업 생태계 개선이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주요제품

- 우주사업부:
- LS사업부 (방위산업):
- 항공사업부:
- 전기추진체계사업부:
재무
| 주요재무정보 | 매출액(억원) | 당기순이익(억원) | ROE(%) | 부채비율(%) |
|---|---|---|---|---|
| 2021 | 55,414 | 3,018 | 9.21 | 180.95 |
| 2022 | 70,604 | 1,466 | 6.80 | 280.69 |
| 2023 | 93,590 | 9,769 | 25.60 | 317.21 |
| 2024(E) | 101,635 | 8,425 | 21.80 |
TradingClueTM
530,000~
7차 매수 목표 가격
2025년 2월 25일 : 3월 말 이내
430,000~
8차 매수 목표 가격
2025년 2월 25일 : 5월 말 이내
900,000
4차 매도 목표 가격
Trading History
- 항공,우주,방산 섹터
- 1차 매수 및 2차 매수 목표 기간 변경
- 2024년 2월 26일 : 166,200원 1차 매도 가격 도달(매수목표 가격 3,4차 추가)
- 2024년 3월 12일 : 계속 홀딩. 3차 목표 매수 가격 도달 시 적극 매수
- 2024년 3월 27일 : 2차 매도 목표 가격 도달
- 2024년 4월 1일 : 매수&매도 목표 가격 수정
- 2024년 8월3일 : 주식 가격 조정 대비, 매도&매수 가격 수정
320,000~
5차 매수 목표 가격
2024년 8월 3일 : 11월 말 이내
220,000~
6차 매수 목표 가격
2024년 8월 3일 : 12월 말 이내
550,000
3차 매도 목표 가격
135,000~
3차 매수 목표 가격
2024년 2월 26일 : 3월 말 이내
116,000~
4차 매수 목표 가격
2024년 2월 26일 : 4월 말 이내
210,000
2차 매도 목표 가격
115,000~
1차 매수 목표 가격
2024년 1월 10일 : 2월 말 이내
108,000~
2차 매수 목표 가격
2024년 1월 10일 : 3월 말 이내
160,000
1차 매도 목표 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