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를 활용한 사업계획서

GitHub을 활용하여 비개발자도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 협업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GitHub의 기본 기능과 마크다운 언어를 사용하여 문서를 구조화하고, 프로젝트 관리 도구로서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또한, 팀원 간의 효율적인 작업 분배, 버전 관리, 풀 리퀘스트 등을 통한 협업 프로세스와 문서의 통합 및 리뷰 과정을 설명하며, 최종적으로 GitHub Pages를 통해 사업계획서를 공개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사업계획서 협업 : github

다양한 플랫폼

  1. Google Docs: 구글 독스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협업 도구 중 하나로, 실시간으로 문서 작업을 공유하고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이 강점입니다. 인터넷 연결만 있다면 어디서든 접근이 가능하고, 구글 계정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Microsoft TeamsOffice 365: 마이크로소프트의 팀스는 문서 공유, 실시간 통신, 그리고 팀 회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Office 365와 연동하여 엑셀, 워드, 파워포인트 등의 파일을 쉽게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습니다.
  3. Notion: 노션은 다양한 템플릿과 사용자 정의가 가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프로젝트 관리, 메모, 데이터베이스 관리 등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하며, 팀원들과의 업무 진행 상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4. Slack: 슬랙은 실시간 커뮤니케이션과 함께 파일 공유 기능을 제공하는 도구입니다. Slack 채널을 통해 팀원들과 손쉽게 의사소통하며 문서나 파일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5. Asana: 아사나는 프로젝트 관리와 협업에 초점을 맞춘 도구로, 각 팀원의 업무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진행 상황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사업 계획서 작성과 같은 큰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용이합니다.

Issue: 구글 독스에서 효과적으로 문서 공유를 관리하는 방법

Clue: 구글 독스는 효과적인 협업을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문서 공유 및 관리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1. 권한 설정: 문서를 공유할 때는 각 사용자의 권한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 ‘댓글 작성자’, ‘열람자’ 등으로 권한을 설정해 각 사용자가 문서에 어떤 작업을 할 수 있는지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2. 버전 관리: 구글 독스의 ‘버전 기록’ 기능을 사용하면 문서의 이전 버전을 볼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이전 상태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는 실수로 정보가 잘못 변경되었을 때 유용합니다.
  3. 실시간 협업: 사용자가 문서를 동시에 열고 작업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의 커서 위치와 입력 내용이 실시간으로 보여집니다. 이는 협업 과정에서 의사소통을 간소화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4. 코멘트 및 태스크 할당: 문서 내 특정 내용에 코멘트를 추가하여 피드백을 주거나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코멘트를 통해 특정 사용자에게 작업을 할당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업무 진행 상황을 쉽게 추적할 수 있습니다.
  5. 템플릿 사용: 구글 독스에서는 다양한 문서 템플릿을 제공합니다. 이 템플릿들을 사용하여 보고서, 계획서 등을 빠르게 시작할 수 있으며, 일관된 포맷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GitHub

GitHub를 사용하여 마크다운 언어를 활용해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 협업하는 방법은 개발자들에게 친숙한 워크플로우를 비개발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다음은 GitHub를 통해 마크다운 언어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 팀원들과 협업하는 상세한 절차입니다.

1. GitHub 저장소 생성 및 설정
  • 저장소 생성: GitHub에 로그인 후 새로운 저장소를 생성합니다. 저장소 이름을 사업계획서의 주제에 맞게 설정하고, README.md 파일을 포함시켜 초기 설명을 추가합니다.
  • 저장소 권한 설정: 팀원들을 협업자로 초대하여 저장소에 접근하고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
2. 마크다운 파일 구조 설정
  • 폴더 구조 정의: 사업계획서의 주요 섹션별로 폴더를 생성하고, 각 폴더에 해당하는 마크다운 파일을 추가합니다. 예를 들어, Market_Analysis, Business_Model, Financials 등의 폴더를 만들 수 있습니다.
  • 마스터 문서 생성: 모든 섹션의 내용을 한 데 모으는 index.md 파일을 최상위 디렉터리에 생성합니다. 이 문서는 각 섹션의 내용을 링크로 연결하여 전체 문서를 쉽게 탐색할 수 있게 합니다.
3. 마크다운 문법 활용
  • 기본 문법 사용: 제목, 부제목, 목록, 링크, 이미지 등을 추가하여 문서의 가독성을 높이고 구조적으로 명확하게 표현합니다.
  • 표 생성: 비용 분석, 수익 모델 등을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는 표를 마크다운 문법을 사용하여 추가합니다.
4. 버전 관리 및 협업
  • 브랜치 관리: 각 팀원이 개별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브랜치를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feature/market-analysis 브랜치에서 시장 분석 섹션을 작성합니다.
  • 풀 리퀘스트: 작업이 완료되면 풀 리퀘스트를 생성하여 다른 팀원들이 리뷰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내용의 정확성을 보장하고 개선 사항을 토론하는 데 유용합니다.
  • 이슈 트래킹: 사업계획서 작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나 개선사항을 이슈로 등록하고, 이를 통해 작업 항목을 관리합니다.
5. 문서 리뷰 및 통합
  • 코드 리뷰와 유사한 문서 리뷰: 팀원들이 서로의 작업을 검토하고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마크다운 파일에 대한 코멘트와 수정 제안을 통해 내용을 정제합니다.
  • 문서 병합: 모든 리뷰가 완료되고 최종 승인을 받으면 main 브랜치로 병합합니다.
6. 최종 문서 배포
  • GitHub Pages 사용: GitHub 저장소를 통해 사업계획서를 GitHub Pages로 배포하여 웹 페이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외부 투자자나 이해 관계자에게 손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절차를 따르면, GitHub와 마크다운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프로젝트의 투명성을 보장하고, 팀원 간의 협업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합니다.

Issue: 사업 계획서 작성 시 팀원들의 역할과 책임을 효과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전략

Clue: 사업 계획서를 작성할 때 팀원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하는 것은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1. 역할 정의: 프로젝트 초기에 각 팀원의 전문성과 경험을 고려하여 역할을 분배합니다. 예를 들어, 시장 분석이 필요한 경우 시장 분석 경험이 풍부한 팀원에게 이 역할을 할당합니다.
  2. SMART 목표 설정: 각 역할에 대해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하며, 달성 가능하고, 관련성 있으며, 시간 기반의 목표(SMART)를 설정합니다. 이를 통해 각 팀원이 언제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명확히 합니다.
  3. 정기적인 검토 및 피드백: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팀원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이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해결하고, 팀원들이 자신의 역할에 대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돕습니다.
  4. 통신 채널 확립: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명확한 통신 채널을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중요한 업데이트는 이메일을 통해, 일상적인 커뮤니케이션은 슬랙 또는 구글 독스의 코멘트 기능을 통해 진행할 수 있습니다.
  5. 유연성 유지: 모든 팀원이 자신의 역할에 맞춰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필요한 경우 역할을 조정하거나 재분배하여 프로젝트 요구사항에 맞게 최적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