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와 구독서비스 그리고 SaaS

소프트웨어 구독 모델의 성장과 생성형 AI의 활용이 늘어나면서, 개인과 소규모 회사들이 크리에이터 시장에 쉽게 진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SaaS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모델로, 사용자가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며, 이는 접근성, 비용 효율성, 자동 업데이트, 확장성의 이점을 제공합니다. 구독 서비스 모델은 사용자가 정기적인 지불을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예측 가능한 수익, 고객 충성도, 맞춤화와 유연성을 특징으로 합니다.

구독서비스 중심으로

최근 소프트웨어 구독 모델이 빠르게 증가하는 것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생성형 AI(이미지, 음악, 영상등)와 지속적인 디지털 노마드의 유행(블로그나 유튜브를 통해 수익 활동 등)은 개인이나 소규모 회사가 진입하는 크리에이터 시장을 활발하게 하고, 이어서 더욱 더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독 모델이 출현하게 하는 이유입니다. 또한 Zuora의 구독 경제 지수에 따르면, 지난 10년 간 구독 기반 기업의 성장 속도는 S&P 500에 속한 기업들보다 3.7배 빠르다고 합니다.

Zuora의 구독 경제 지수(Subscription Economy Index™, SEI)는 구독 기반 비즈니스의 성장률과 트렌드를 추적하고 분석하는 지표입니다. Zuora는 구독 관리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회사로, 다양한 산업에서의 구독 모델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합니다. 이 지수는 구독 모델을 채택한 기업들의 매출 성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며, 전통적인 제품 판매 모델을 사용하는 기업들의 성장률과 비교하여 구독 경제의 경쟁력과 확장성을 평가합니다.

구독 경제 지수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주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1. 구독 기반 비즈니스의 성장 추적: SEI는 구독 모델을 채택한 기업들이 얼마나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구독 모델의 경제적 가치와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2. 산업별 트렌드 분석: 다양한 산업에 걸쳐 구독 모델의 채택과 성장률을 비교함으로써, 어떤 산업이 구독 경제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구독 경제의 영향력 평가: 전통적인 판매 모델과 비교하여 구독 모델이 전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정책 입안자, 투자자, 비즈니스 리더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4. 미래 전망 제공: 구독 모델의 성장 추세를 바탕으로 향후 시장 변화와 소비자 행동의 변화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Zuora의 구독 경제 지수는 구독 모델이 전 세계적으로 어떻게 확산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모델이 기업의 성장과 혁신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구독 경제의 성장은 소비자들이 제품과 서비스를 소유하는 대신 접근하는 것을 선호하는 현대의 소비 트렌드를 반영하며, 많은 기업들이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비즈니스 모델을 조정하고 있습니다.

https://www.zuora.com/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기업내에서 SaaS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과 수익 방법으로의 “구독 서비스 모델”을 사업자 입장으로 정리하고, 마지막으로 SaaS를 구축하기 위한 기술을 간단히 알아 보겠습니다.

SaaS 뜻?

SaaS 란(Software as a Service)

SaaS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모델로,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인터넷을 통해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이 모델에서는 소프트웨어를 개별적으로 구매하고 설치하는 대신, 웹 브라우저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aaS 제공업체는 서버,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유지 관리 및 업데이트를 담당합니다.

SaaS의 특징:
  • 접근성: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곳이라면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습니다.
  • 비용 효율성: 초기 비용이 낮으며, 구독료만 지불(구독 서비스 모델)하면 됩니다.
  • 자동 업데이트: 사용자는 소프트웨어의 최신 버전을 자동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확장성: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맞게 서비스를 쉽게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습니다.
SaaS 예시:
  • Google Workspace
  • Salesforce
  • Dropbox

SaaS, PasS, IasS 란?

SaaS (Software as a Service), PaaS (Platform as a Service), 그리고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세 가지 주요 서비스 모델로, 비즈니스가 IT 인프라를 구축, 관리 및 확장하는 방법을 혁신적으로 변화시켰습니다. 이 모델들은 각각 다른 수준의 관리와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SaaS (Software as a Service)
  • 정의: SaaS는 인터넷을 통해 호스팅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델입니다. 사용자는 소프트웨어를 직접 구매하고 설치하는 대신 구독을 통해 액세스하며, 서비스 제공업체는 소프트웨어의 유지관리, 업데이트 및 지원을 담당합니다.
  • 장점: 초기 비용 절감, 쉬운 업그레이드와 유지관리, 어디서나 접근 가능.
  • 사용 사례: Google Workspace, Salesforce, Dropbox.
PaaS (Platform as a Service)
  • 정의: PaaS는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생성, 배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델입니다. PaaS는 하드웨어 및 운영 체제 관리를 제공업체가 담당하며, 사용자는 개발 도구, 미들웨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장점: 개발 과정의 단순화, 다양한 개발 도구 및 서비스 제공, 확장성 및 유연성.
  • 사용 사례: Google App Engine, Microsoft Azure, Heroku.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정의: IaaS는 가상화된 컴퓨팅 인프라(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운영 체제)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모델입니다. 사용자는 자신의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호스팅할 수 있는 가상 서버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제공업체는 물리적 인프라를 관리합니다.
  • 장점: 비용 효율적인 확장성, 물리적 인프라에 대한 투자 필요 없음, 유연한 리소스 관리.
  • 사용 사례: Amazon Web Services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Platform.

각 서비스 모델은 기업이 IT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중요한 비즈니스 목표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선택은 기업의 특정 요구, 기술 역량 및 전략적 목표에 따라 달라집니다. 또한 3가지 모델의 기본적인 결제 모델은 대부분 구독 서비스 형태 결제를 따르고 있습니다.

각 서비스 모델은 기업이 IT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중요한 비즈니스 목표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선택은 기업의 특정 요구, 기술 역량 및 전략적 목표에 따라 달라집니다.

Issue: SaaS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Clue: SaaS의 개념은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에는 “시간 공유” 시스템을 통해 컴퓨터 자원을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는 개념이었습니다. 하지만 현대적인 SaaS의 형태는 1990년대 인터넷의 상업적 확산과 함께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2000년대 초 Salesforce.com과 같은 회사들이 이 모델을 대중화시키면서 본격적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습니다.

Issue: SaaS 모델이 인기를 얻게 된 주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Clue: 여러 이유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비용 효율성과 편리성입니다. 기업이나 개인 사용자는 높은 초기 비용 없이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유지 보수가 제공업체에 의해 자동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IT 자원과 관리 부담이 크게 줄어듭니다. 이러한 이점들로 인해 SaaS 모델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Issue: SaaS의 주요 발전 단계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Clue: SaaS의 발전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웹 기반 이메일과 같은 간단한 온라인 서비스의 등장입니다. 두 번째 단계는 Salesforce.com과 같은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의 클라우드 기반 제공으로, 복잡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세 번째 단계는 현재 진행 중이며,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석 등의 첨단 기술이 통합되어 보다 지능적이고 맞춤화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Issue: SaaS가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배포 모델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

Clue: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모델에서는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구매하고 자신의 컴퓨터나 서버에 직접 설치해야 합니다. 이에 비해, SaaS 모델에서는 소프트웨어가 클라우드 서버에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에 접근합니다. 이로 인해 초기 비용 절감, 쉬운 접근성, 유지 보수의 간소화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Issue: 현재 SaaS 시장의 주요 트렌드는 무엇인가요?

Clue: 현재 SaaS 시장의 주요 트렌드 중 하나는 맞춤화와 개인화입니다. 사용자의 특정 요구와 선호도를 반영한 서비스가 점점 더 많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또한, 보안과 데이터 프라이버시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응하는 기술과 정책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의 통합이 증가하고 있어, 보다 지능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Issue: SaaS 모델이 기업 운영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Clue: SaaS 모델은 기업이 IT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해줍니다. 또한, 기업은 소프트웨어 구매와 유지 보수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핵심 비즈니스에 더 많은 자원을 집중할 수 있습니다. SaaS의 유연성 덕분에 기업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시장에는 다양한 기술과 AI 모델이 넘쳐나고 있으며, 이러한 공급 과잉의 추세에 맞추어 어떤 모델을 SaaS 개발에 활용해야 할지는 큰 과제입니다. 전 세계 수많은 고객과 사업자들이 SaaS 마케팅이나 초기 유료 사용자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구독서비스 saas

구독 서비스 모델

구독 서비스 모델은 사용자가 정기적인 지불을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SaaS뿐만 아니라, 온라인 스트리밍, 매거진, 멤버십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즉 어떠한 클라우드 서비스(SaaS,PaaS,IaaS)이든지 정기적인(월별/연별) 비용을 통해서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구독 모델은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인 고객 관계를 구축하려는 목표를 가집니다.

구독 서비스 모델의 특징:
  • 예측 가능한 수익: 정기적인 지불로 인해 비즈니스는 안정적인 수익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 고객 충성도: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으로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맞춤화와 유연성: 구독 서비스는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맞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 구독 옵션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구독 서비스 모델 예시:
  • Netflix
  • Amazon Prime
  • Spotify
  • ChatGPT 4.0

특히 지난해 AI 및 SaaS 분야는 눈부신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Open AI GPT의 출시 이후, AI를 SaaS에 통합하는 것이 대폭 용이해졌고, 현재 대부분의 SaaS 서비스에는 AI 기능 요소가 빠르게 통합되고 있습니다. 이 분야는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폐쇄 소스 모델인 Open AI GPT나 Google Gemini와 비교하여 더 많은 오픈 소스 LLM 모델이 시장에 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Web3 분야의 성장이 활발해지며, AI와 Web3을 결합한 새로운 SaaS 솔루션의 출현이 기대됩니다.

Web3, 종종 Web 3.0으로도 불리는, 인터넷의 다음 단계 발전을 의미합니다. 이는 중앙 집중형 서버에 의존하지 않고,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분산형 네트워크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데이터와 가치를 교환할 수 있는 새로운 웹 패러다임을 제안합니다. Web3는 사용자가 데이터의 소유권을 가지며, 개인 정보 보호와 보안이 강화된, 더욱 개방적이고 상호 운용 가능한 인터넷 환경을 목표로 합니다.

Web3의 주요 특징
  1. 분산형 네트워크: Web3는 중앙화된 서버가 아닌 블록체인과 같은 분산형 기술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이로 인해 플랫폼 소유주나 중개자 없이도 사용자 간에 직접적인 상호 작용이 가능해집니다.
  2. 데이터 소유권과 통제: 사용자는 자신의 데이터를 직접 통제하고 소유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는 사용자의 개인 지갑에 저장되며, 사용자의 명시적인 동의 없이는 접근하거나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토큰 기반 경제: Web3는 암호화폐와 토큰을 활용해 경제적 가치를 전송하고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참여를 장려하고, 네트워크 내에서 가치 교환을 용이하게 합니다.
  4. 스마트 계약: 블록체인 상에서 자동으로 실행되는 계약으로, 사전에 정의된 조건이 충족되면 계약 내용이 실행됩니다. 이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중개자 없이도 거래가 가능해집니다.
  5. 개인 정보 보호와 보안 강화: 데이터의 분산 저장과 암호화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합니다. 또한, 블록체인의 특성상 데이터의 무결성과 보안이 확보됩니다.
Web3의 응용 분야
  • 분산 금융(DeFi):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을 대체하거나 보완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는 중앙 기관 없이도 대출, 대출, 자산 거래 등의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NFT(Non-Fungible Token):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데 사용되는 토큰. 예술, 게임 아이템, 수집품 등의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 분산 자율 조직(DAO): 스마트 계약을 통해 운영되는 분산형 조직. DAO의 모든 결정은 토큰 소유자의 투표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 소셜 네트워크 및 컨텐츠 플랫폼: 사용자가 컨텐츠 생성, 배포, 수익 창출을 통제할 수 있는 분산형 소셜 미디어 플랫폼.
Web3의 문제점과 전망
문제점
  • 규모성과 성능: 현재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처리 속도와 확장성의 제한으로 인해 대규모 사용자 채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사용자 경험: Web3 애플리케이션은 종종 사용하기 복잡하며, 평균 사용자가 접근하기에는 높은 진입 장벽을 가지고 있습니다.
  • 규제와 법적 문제: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을 둘러싼 규제 환경은 아직 불확실하며, 이는 Web3 기술의 채택과 발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전망
  • 기술 발전: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과 새로운 솔루션의 등장으로 처리 속도와 확장성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상호 운용성: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간의 상호 운용성이 강화되어,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의 연결성과 호환성이 향상될 것입니다.
  • 더 나은 사용자 경험: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간소화된 접근 방법이 개발되면서, Web3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기반 확대가 예상됩니다.
  • 규제 환경의 명확화: 전 세계적으로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 프레임워크가 마련되면서, 법적 확실성이 제공될 것입니다.

여기서, 소비자 소프트웨어 구독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그리고 누가 이를 활용하고 있나요? 무엇보다, 이러한 구독 모델이 가져오는 이점은 무엇일까요?

소비자 소프트웨어 구독의 역사

소비자 소프트웨어 구독의 발전은 다음과 같은 여러 단계를 거쳐 왔습니다:

  1. 초기 (1980년대~1990년대): Norton과 McAfee와 같은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은 초기에 소프트웨어 구독 모델을 채택했습니다. 이들은 잡지, 케이블 TV, 보험 회사와 같은 전통적인 구독 서비스에 이어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구독 모델을 도입한 선구자들이었습니다.
  2. 선택적인 구독 (1990년대): Quicken, Macromedia Director, Grolier’s Multimedia Encyclopedia와 같은 소프트웨어들은 일부 기능에 대해 선택적인 구독서비스를 제공했으나, 기본적으로는 영구 라이센스 모델을 유지했습니다.
  3. 구독 비디오의 등장 (1990년대 후반): 1997년, Netflix는 바이러스 백신 소프트웨어를 제외한 분야에서 최초로 구축된 소비자 비디오 구독 서비스를 시작하며 광범위한 채택의 길을 열었습니다.
  4. 서비스 확대 (2000년대): 2000년대 초반 B2B SaaS 혁명에 영감을 받아, 소비자 소프트웨어도 구독 모델로 전환하기 시작했습니다. Flickr (2004년), Amazon Prime (2005년), Skype, 그리고 Evernote, Dropbox, Spotify (2008년) 등이 구독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5. 대중화 (2000년대 후반~2010년대 초반): Apple App Store(2008)와 Google Play Store(2011)의 등장으로 모바일 구독 앱의 시대가 시작되었습니다. VSCO, Peloton, Birchbox, Dollar Shave Club과 같은 인기 제품 및 서비스가 이 시기에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6. 모든 서비스가 구독서비스로 (2010년대 후반~현재): 현재는 소비자 소프트웨어 구독의 전성시대로, Adobe Creative Cloud (2015년), Microsoft Office (2017년) 등이 구독 모델로 전환했습니다. 이어서 Duolingo에서 Substack (2017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업계에서 구독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들어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로 인한 다양한 생성형 AI 서비스 출시가 폭증하고 있습니다.

기업을 위한 구독서비스 모델 전략

구독 모델은 CFO가 선호하는 비즈니스 전략으로, 이는 세 가지 주된 이유 때문입니다. 첫째, ARPU(고객당 평균 수익) 및 LTV(고객 생애 가치)의 증가로 고객이 더 긴 기간 동안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집니다. 둘째, CAC(고객 획득 비용) 감소는 단골 고객을 유지하기 위해 더 적은 마케팅 및 판매 비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셋째, 안정적인 현금 흐름은 반복적인 수익이 현금 흐름의 예측 가능성을 높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이점은 비즈니스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수용도 측면에서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소비자는 인터넷이나 앱 스토어를 통해 제품을 지속적으로 제공받는 것을 선호하며, 이는 지속적인 비용을 정당화합니다.

그러나 구독 모델이 소비자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유일한 모델은 아닙니다. 다양한 가격 모델을 가진 서비스들이 실제 성공을 거두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ortnite’는 2021년에 약 57억 6천만 달러의 수익을 게임 내 소액 거래를 통해 얻었습니다. 이 게임에서 사용자는 게임 내 통화로 스킨 같은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thredUP’은 중고 옷을 개별적으로 판매하여 수억 달러의 수익을 올렸고, ‘Rap to Beats’는 사용자에게 프리미엄 가격의 인앱 비트를 판매했습니다. 이러한 예시들은 거래당 이자로 수익을 창출하는 등의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존재함을 보여줍니다.

가격 책정 전략은 단순히 구독 모델을 선택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여러가지 고려사항과 복잡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구독 모델 내에서도 비지니스 전략이 중요하며, 여러 전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Spotify 사례 : 음악서비스

과거 Spotify의 무료 등급은 사용자에게 음악을 무제한으로 건너뛸 수 있는 권한을 주었습니다. 이는 음악 애호가들에게 너무나 좋은 기능 이었지만, Spotify에게는 수익성 면에서 기대에 못 미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이에 따라 2014년, Spotify는 무료 이용자에서의 음악 감상중 다른 음악으로의 건너뛰기를 시간당 6회로 제한하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 변경이 적용된 후, 많은 이들이 Spotify의 무료 사용자의 이용이 더욱 제한적으로 되었으며, 일부는 스포티파이 사용을 중단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6개월 후 Spotify는 유료 가입자 수가 25% 증가했으며, 이는 분석가들의 예상을 크게 상회하는 결과였습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무료 사용자의 이탈률이 증가하지 않았다는 사실입니다.

Spotify가 이러한 성과를 달성한 방법의 핵심은 ‘역행‘ 전략에 있었습니다. 즉, 사용자는 처음 7일 동안은 무제한으로 음악을 건너뛸 수 있었지만, 그 기간이 지난 후에는 건너뛰기 한도에 제한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 사례는 소비자 소프트웨어 회사가 가격 책정을 단순히 조정하는 것을 넘어서서, 모델을 더욱 세밀하게 만드는 과정에서 그 진가를 발휘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모델을 정교하게 설계하고 실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산업별 전략

어떤 소프트웨어 산업에 있든지 구독 제품이 시장의 지배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만, 그 보급률은 산업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교육 산업은 다양성이 가장 낮은 반면,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가장 다양한 가격 모델을 보여줍니다. 특히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제외하고는 소액 결제 및 인앱 구매를 사용하는 사례가 아직은 거의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교육 및 생산성 분야에서도 비구독 서비스의 예는 몇 가지 있지만(Coursera, Final Cut, Google 검색과 같은 몇 가지 예외) 그 수는 매우 적습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일부 제품이 일회성 구매 모델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TurboTax와 같이 연간 업그레이드 옵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반복적인 구매를 유도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심지어 일회성 구매 모델을 사용하는 제품들조차도 구독 또는 구독과 유사한 반복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구독모델의 가격 책정 방식


가격 책정 방식과 관련하여 구독 모델이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 외에도, 가격을 결정하는 데에는 다양한 전략이 존재합니다. 또한, 구독 내에서도 최적화할 수 있는 여지가 많습니다.

현재 시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5가지 주요 가격 책정 전략이 있습니다. 이 전략들은 나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평가판 (Trial): 이 전략은 사용자가 구매 결정을 내리기 전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한된 기간 동안 무료로 시험해 볼 수 있도록 합니다. 사용자는 제품의 가치를 직접 경험함으로써 구매 결정에 도움을 받게 됩니다.
  2. 부분 유료화 (Freemium): 이 전략은 기본적인 기능은 무료로 제공하되, 고급 기능이나 추가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는 유료로 업그레이드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무료 버전을 사용하면서 제품에 익숙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추가 기능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3. 동적 가격 책정 (Dynamic Pricing): 이 전략은 수요, 시간, 사용자 행동 등 다양한 요인을 기반으로 가격을 조정합니다. 시장의 변화나 특정 사용자 그룹의 구매 패턴에 따라 가격을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4. 드립 가격 책정 (Drip Pricing): 이 전략은 초기에는 낮은 가격을 제시하고, 나중에 추가 비용이나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식입니다.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에 이미 투자한 상태에서 추가 비용을 지불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5. 역방향 평가판 (Reverse Trial): 이 전략은 사용자가 처음에는 프리미엄 버전을 사용하게 하고, 시험 기간이 끝나면 무료 버전으로 전환하는 방식입니다. 사용자는 프리미엄 버전의 이점을 경험한 후, 그 기능을 계속 유지하고자 유료 버전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전략들은 모델 자체를 넘어서는 가격 책정 전략으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구독서비스 saas

SaaS 개발을 위한 고려사항

지금까지 SaaS에 대한 일반 사항, 그리고 그 서비스를 판매하기 위한 구독 결제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실제 기업에서 SaaS 구축을 위한 다양한 기술적 고려 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다음은 전문적인 소프트웨어 기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프론트엔드 디자인 및 스타일링

프런트엔드 디자인과 CSS 작성을 위해 다음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Tailwind CSS
  2. Bootstrap
  3. Bulma
  4. MUI
  5. Shadcn/ui

물론 Tailwind CSS는 Bootstrap과 다른 것보다는 인기가 있지만 Copy&Paste 형태의 쉬운 개발을 하고 싶다면 MUI 또는 Shadcn/ui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정의 CSS를 작성하기 위한 전처리기인 sass-lang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CSS에 추가 기능을 추가하고 작업을 훨씬 쉽고 이해하기 쉽게 만듭니다.

최적의 확장 가능한 디자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음 도구를 확인해 보세요.

  1. Figma
  2. Sketch
  3. Visily

프런트엔드 프레임워크의 경우 다음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1. React JS + Vite
  2. Vue JS
  3. Angular
백엔드 개발

이제 프론트엔드 개발을 살펴봤으니 이제 백엔드 코드를 시작할 차례입니다. 백엔드 개발 프레임워크에 다음과 같은 옵션이 있습니다.

  1. Nest JS
  2. Express JS
  3. Rust Rocket
  4. Django
  5. Beego

이제 이러한 Nest JS는 Node JS 백엔드를 작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Express JS보다 우수하거나 더 발전되어 있습니다. 이 외에 Rust는 최근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Go의 Beego와 Python의 Django와 같은 프레임워크도 있습니다.

이 외에도 우리는 Java용 Spring Boot 또는 C#용 Blazor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SaaS를 구축하는 데 아직은 친숙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JAVA는 대기업에서 많이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이제 이러한 백엔드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프런트엔드와 통신하기 위해 Rest API 또는 GraphQL 도 알아야 합니다 .

데이터 베이스

이제 프런트엔드 프레임워크와 백엔드 프레임워크를 선택했으면 데이터베이스는 어떤 선택이 있는지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MongoDB (No SQL)
  2. PostgreSQL (SQL)
  3. PlanetScale DB (MySQL Better Version)
  4. Timescale DB (For time series DB in PostgreSQL)
  5. Redis (Mostly for caching)

위에 제시한 것들은 선택할 수 있는 가장 인기 있는 데이터베이스들입니다.

또한 코드없이 개발이 가능한 노코드 도구를 사용하고 싶다면 아래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1. Bubble.io
클라우드 및 호스팅

사용자 및 확장성 측면에서 SaaS를 고려할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의 Azure, 아마존의 AWS 및 구글의 GCP와 같은 클라우드를 살펴보는 것을 고려해야 하며, 우선 스타트업체를 위한 다양한 이벤트 들을 링크합니다.

  1. Startup Credit for Azure
  2. Startup Credit for AWS
  3. Startup Credit for GCP
AI/ML 모델

AI를 시스템에 통합하려면 아래의 오픈 소스 및 폐쇄형 AI 모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OpenAI GPT 3.5 Turbo
  2. Google Gemini
  3. Nitro
  4. Jan.ai
  5. LLAMA
  6. Mistral.ai

Issue: SaaS 산업에서 인공지능의 역할은 어떻게 변화할까요?

Clue: 인공지능은 SaaS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해서 담당할 것입니다. 데이터 분석, 고객 서비스, 자동화된 마케팅 전략 수립 등 다양한 영역에서 AI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AI를 통해 고객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주요 트렌드가 될 것입니다.

Issue: SaaS 서비스의 보안 문제는 어떻게 다뤄지고 있나요?

Clue: SaaS 제공업체들은 데이터 암호화, 인증 메커니즘, 정기적인 보안 업데이트 및 패치 적용 등을 통해 보안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다중 인증(MFA), 사용자 행동 분석, 그리고 네트워크 보안 강화와 같은 고급 보안 기술을 도입하여 데이터 유출 및 해킹 시도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측면에서도 강력한 비밀번호 정책, 정기적인 액세스 권한 검토, 그리고 직원 교육을 통해 보안 의식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Issue: SaaS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Clue: SaaS의 미래는 더욱 지능적이고 통합된 서비스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공지능(AI), 머신러닝, 그리고 자동화 기술의 통합을 통해 더욱 맞춤화되고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또한, 다양한 SaaS 솔루션들 간의 연동성과 호환성이 강화되어, 사용자는 하나의 통합된 플랫폼에서 여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Issue: SaaS의 글로벌 확산은 어떤 형태로 진행될까요?

Clue: SaaS의 글로벌 확산은 다양한 지역적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현지화 전략을 통해 가속화될 것입니다. 이는 언어, 문화, 그리고 법률적 요구사항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의미합니다. 또한, 글로벌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파트너십 및 협력 관계 구축도 중요한 전략이 될 것입니다.

결론

스마트폰 출시(2009년)이후 15년 동안 정말 많이 발전했습니다. Forbes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의 평균 구독률은 2014년보다 4배 더 높고, 2014년 상반기 미국의 유료 음악 스트리밍 가입자 수는790만명에서 2024년 9천만 명으로 비약적으로 성장하였습니다. 모든 것이 구독(월/연 정액) 서비스 형태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SaaS와 구독 서비스 모델은 현대 비즈니스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두 모델 모두 사용자의 편의성과 비즈니스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합니다. SaaS는 주로 소프트웨어 제공에 초점을 맞춘 반면, 구독 서비스 모델은 수익 모델의 하나로 더 넓은 범위의 제품과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소비자 소프트웨어 구독 모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현재는 거의 모든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분야에서 중요한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소프트웨어 서비스 대부분이 구독 형태로 전환하는 요인은 무엇일까요?

첫째, 구독 모델은 기업에게 안정적인 수익원을 제공합니다. 정기적인 구독료 수입은 기업의 재정 계획과 예측을 용이하게 합니다. 둘째, 소비자에게는 초기 비용 부담 없이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또한, 구독 모델을 통해 소비자는 항상 최신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어, 업데이트나 보안 문제에 대한 걱정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점과 인공지능, 생성형 AI의 빠른 발전으로 인해, SaaS와 소비자 소프트웨어 구독 모델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