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언제 성장을 멈출까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성장과 발달이 청소년기에서 성인 초기까지 이루어진다고 생각하지만, 하버드 대학교의 로버트 케건(Robert Kegan) 교수는 “인간의 발달은 평생에 걸쳐 지속된다”고 말합니다. 1982년 그의 저서 “The Evolving Self”에서 그는 인간 발달이 특정 시기에 멈추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새로운 경험을 통합하며 발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오늘은 케건의 독창적인 발달 이론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케건 이론의 특별한 점
케건의 이론이 특별한 이유는 발달이 성인기까지 계속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이론과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을 성인기까지 확장했다는 데 있습니다. 케건은 인간 발달을 단순한 생리적, 인지적 성장으로 보지 않고, 자아가 경험을 통해 스스로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해석했습니다. 케건은 인본주의, 정신분석, 발달심리학을 창의적으로 통합하여 새로운 발달의 틀을 제시했다고 할수 있습니다.
다섯 단계로 보는 인간 발달
케건의 인간 발달 이론은 다섯 가지 주요 단계로 나뉘며, 각 단계는 삶의 경험을 통해 새로운 자아 개념을 형성해 가는 과정입니다. 각 단계마다 발달 과제가 있으며, 이를 완수하면서 우리는 더 높은 단계로 발전하게 된다고 합니다.

1. 충동적 정신 – “나는 곧 나의 충동이다”
- 발달 시기: 영유아기 (0-2세)
- 핵심 특징: 충동적 본능과 즉각적인 감각에 의해 행동이 결정되는 단계입니다. 아이들은 자기 중심적인 시각에서 세상을 바라보고,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를 충족하려 합니다. 충동에 따라 반응하기 때문에 장기적 계획이나 감정 조절은 아직 어렵습니다.
- 발달 과제: 안전한 환경에서 자기 통제력의 기초를 형성합니다. 부모와 보호자의 안정적인 지원은 아이가 조금씩 자신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출처: The Evolving Self (Kegan, 1982)
2. 제국주의적 정신 – “내 방식이 최고야”
- 주요 시기: 아동기~청소년기 초기
- 핵심 특징: 자신의 욕구와 관점이 세상의 중심이 됩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자신의 욕구와 욕망을 절대적인 것으로 여기며, 타인의 감정이나 입장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즉, 자신의 필요와 이익을 우선시하는 ‘제국주의적’ 관점을 가집니다.
- 발달 과제: 타인의 관점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기르기 시작합니다. 아이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타인의 존재를 인식하면서, 자기중심적인 사고를 넘어설 준비를 합니다.
출처: In Over Our Heads (Kegan, 1994)
3. 사회화된 정신 – “우리는 하나”
- 특징: 관계와 소속감이 발달하며, 사회적 규범과 기대를 따르려는 성향이 강해집니다. 사회화된 정신 단계에 있는 사람들은 타인의 관점을 존중하고 조화를 이루고자 노력하며, 소속된 집단의 가치와 규범을 내면화합니다.
- 강점: 사회적 조화와 협력의 능력을 발휘합니다. 직장, 가족, 친구 관계에서 좋은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 한계: 과도한 동조로 인해 자아가 약화될 수 있습니다. 자신의 독립적인 정체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기대에 지나치게 순응하여 불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출처: Kegan & Lahey (2009) Immunity to Change
4. 자기 저술적 정신 – “나는 나만의 길을 간다”
- 특징: 독립적인 가치 체계와 신념이 형성됩니다. 자기 저술적 정신 단계에 이른 사람들은 자신의 가치와 목표를 바탕으로 삶을 설계하며, 타인의 기대나 규범에 무조건적으로 따르지 않고, 자신만의 기준을 세웁니다.
- 강점: 자율성과 책임감을 키우며, 직업이나 생활에서 주체적으로 행동합니다. 자신의 신념에 따라 목표를 설정하고 이루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는 성향이 있습니다.
- 도전: 자신의 관점에 갇힐 위험이 있습니다. 독립적 사고가 지나쳐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유연성을 잃고, 협력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출처: Helsing et al. (2014) Hidden in Plain Sight: Adult Learning, Development, and the Role of Professional Education
5. 자기 변형적 정신 – “변화 속의 나”
- 특징: 정체성의 유동성을 수용하고 다양한 관점을 융합하는 단계입니다. 자기 변형적 정신 단계에 도달한 사람들은 여러 관점을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조차 유연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 발달합니다.
- 강점: 복잡한 문제 상황에서 다양한 관점을 통합하여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자신과 타인, 더 나아가 조직이나 사회의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발달 조건: 지속적인 자기 성찰과 개방성이 필요합니다. 명상이나 자기 탐구를 통해 자신을 깊이 이해하고, 변화에 열린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The Evolving Self (Kegan, 1982)

우리는 어떻게 성장하는가?
케건은 인간 발달이 마치 계단을 오르는 것이 아니라 ‘나선형’으로 발전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각 발달 단계가 이전 단계를 포함하며, 경험을 토대로 새로운 관점을 형성하는 과정입니다. 각 단계는 자신을 이해하는 방법과 주변 세계를 받아들이는 방식에 변화를 가져오며, 발달을 촉진하는 몇 가지 요소들이 있습니다.
발달을 촉진하는 요소들
- 안전하고 지지적인 환경: 발달 단계의 전환은 안전한 환경 속에서 이루어질 때 효과적입니다.
- 적절한 도전과 기회: 자신을 확장할 수 있는 도전은 새로운 시각과 경험을 받아들이게 합니다.
- 지속적인 자기성찰: 자신을 돌아보고 성장하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 다양한 관점과의 만남: 서로 다른 시각과 경험을 접하며 자신을 확장해 나갈 수 있습니다.
자신의 발달 단계 이해하기
나는 현재 어느 단계에 있을까요? 자신의 발달 단계를 이해하는 것은 현재 자신이 어떤 가치와 신념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경험을 통해 더 높은 단계로 나아갈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기회입니다.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점검해 보세요:
- 의사결정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사회적 기대인가요, 아니면 나만의 신념인가요?
- 갈등 상황에서 어떻게 대응하나요? 타협과 조화를 우선하나요, 아니면 자신만의 입장을 고수하나요?
- 신념이 도전받을 때 어떤 반응을 보이나요? 다른 관점을 고려하나요, 아니면 현재 입장을 유지하려 하나요?
마치며
케건의 발달 이론은 우리에게 “발달에는 끝이 없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줍니다. 각 단계는 그 자체로 의미가 있으며, 성장의 한 부분으로서 소중히 여겨야 하지 않을까요? 자신의 현재 위치가 어디에 있든지 그것은 인생의 한 단계일 뿐이며, 중요한 것은 앞으로 나아가려는 의지와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태도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참고문헌
- Kegan, R. (1982). The Evolving Self: Problem and Process in Human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 Kegan, R. (1994). In Over Our Heads: The Mental Demands of Modern Life. Harvard University Press.
- Kegan, R., & Lahey, L. L. (2009). Immunity to Change. Harvard Business Press.
- Helsing, D., et al. (2014). Hidden in Plain Sight: Adult Learning, Development, and the Role of Professional Education.